[한국농어민신문] “윤석열 정부, 축산업 깊이 이해하고 현장과 소통 정책 펴 달라” |
|||
---|---|---|---|
작성일2022-05-10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김경욱 기자] 10일 출발선상에 서는 윤석열 정부에 축산업계는 무엇을 요구하고 있을까. 좀 더 들어가 ‘축산업계가 바라는 정부’는 어떤 상일까. 축산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면 그들의 바람은 의외로 소박하다. ‘산업의 깊이를 이해하고 현장과 소통하는 정책을 펴 달라’는 간결하지만 절실한 문장이 그들의 외침이다. 윤석열 정부가 풀어야 할 축산 현안 마지막 순서로 주요 축산단체장들과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수입소고기를 비롯해 개방화 파고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한우업계 역시 산업부터 살펴달라는 당부를 하고 있다. 특히 현재 정부가 노골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 대한 불신이 상당하다. 김삼주 전국한우협회장은 “CPTPP에 가입해 일본 와규가 수입된다면 한우 농가는 직격탄을 맞는다”며 “하지만 정부는 그동안 자국 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을 만들지 않은 채 CPTPP 참여만 추진하고 있는데 선대책이 우선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정부 정책이 규제 일변도였던 만큼 앞으론 규제보단 농가가 안정적으로 축산업을 영위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으로 가축을 키울 수 있는 정책을 제시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계 전문가들도 축산단체장들과 시선을 같이 하며 새 정부에 구체적인 주문을 하고 있다. 허선진 중앙대 교수는 “새 정부에서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는 사료 가격 안정으로 사료 가격 상승은 육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며 “CPTPP 역시 농업 강대국들이 대거 포함됐기에 시장개방으로 혜택을 얻는 산업 일부를 농업 분야에 투입해 식량 자급률 확보를 위한 예산으로 활용하는 등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종합적으로 정부가 축산업에 대한 원활한 소통을 해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축산분야의 탄소배출량은 전체 배출량 점유율의 1.5% 수준에 불과한데, 마치 축산업계를 주범으로 몰고 있다”며 “객관적 데이터와 소통에 기반한 축산 정책을 윤석열 정부에선 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출처: 한국농어민신문 |
|||
목록 |
다음게시물 | [농민신문] 한우협회, “6·1 지방선거 공약에 한우가격 안정 등 7대 요구사항 채택” 촉구 |
---|---|
이전게시물 | [중앙일보] 사룟값 70만원 더 드는데 소 값 126만원 내려…농가 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