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 탄소중립 실행 원년, 농업·농촌 역할 강화할 때 |
|||
---|---|---|---|
작성일2022-01-12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농수축산신문 박유신 기자] 올해는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농업·농촌 분야에서의 탄소중립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는 원년이다. 특히 오는 3월 25일부터는 탄소중립의 법적기반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의 시행도 앞두고 있어 탄소중립이 농업·농촌 분야의 큰 화두 중 하나로 부각될 전망이다. 하지만 정작 농업·농촌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정부의 기대치와 온도 차이가 있다. 탄소중립의 필요성이나 시급성, 농업·농촌의 역할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정부가 제시한 대책의 수용 가능성과 달성 효과에는 의문을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길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업환경에너지팀장은 “국내 온실가스 배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 수준으로 규모면에서 비중이 매우 작은 반면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에는 매우 민감한 산업이라는 이유로 그동안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온실가스 감축보다는 기후변화 적응에 중점을 둬 경제적인 손실까지 감내하는 적극적인 감축 정책은 취하지 않았다”고 진단하며 “하지만 메탄서약을 기점으로 농업분야도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을 요구받기 시작했다”고 심각성을 전했다. 이유진 지역에너지전환을위한 전국네트워크 공동대표도 “기후위기가 식량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식량안보를 확보하면서 온실가스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농축수산업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이야기”라고 전했다. 서 연구위원은 “농축산부문이 탄소중립에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식량안보와 수급 안정, 농촌의 경관 등 농촌다움의 유지와 보전이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정부간 협력과 함께 지자체별 농촌주민이 주도하는 농업·농촌 탄소중립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경용 당진낙농축협 조합장은 “정부의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축산업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상당히 공감하기 어려운 내용이 담겨있다”고 지적하며 “아산화질소, 메탄 등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배양육이나 대체가공식품의 이용을 확대한다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며 축산업의 위축, 나아가 국민의 식량안보를 위협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출처: 농수축산신문 |
|||
목록 |
다음게시물 | [팜인사이트] 코로나 19 이후 소고기 취식 빈도 늘었다 |
---|---|
이전게시물 | [보건뉴스] 검역본부, 설 명절 대비 수입축산물 특별단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