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 사육 줄이라며 지원금은 쥐꼬리…한우 사육 농가 울상 |
|||
---|---|---|---|
작성일2021-10-18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매일신문 경북부] 국내 한우 사육 마릿수의 지속적인 증가로 과잉 공급 경고등이 켜진 가운데 전국 최대 산지인 경북 한우업계에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우 가격 하락 가능성을 두고 반신반의하는 여론도 있지만 일부 농가는 자발적인 사육 마릿수 감축을 깊이 고민하고 있다. 축산 업계는 현 상황의 지속 시 한우 가격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달 4일 경주 우시장에서 축산 농민에게 한우 수급 안정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하는 캠페인도 벌였다. 김영일 전국한우협회 경주시지부장은 "한우 농가들이 두수 감축에 적극적이지 않아 문제"라면서 "암소를 살찌워 출하하도록 하는 등 사육 규모 조절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자연히 축산 농가들 사이에서 한우 가격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잇따른다. 영천 출신인 최종효 전국한우협회 대구경북도지회장은 "한우 가격이 당장 떨어지지는 않겠지만 수급 조절을 생각해볼 때가 됐다"고 분석했다. 전국 한우 업계는 사육 마릿수의 증가세에 맞서 가임기 암소를 비육시킬 경우 지원금을 주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총 4만 마리 감축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한우 농가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 마리당 지원금 18만~20만원이 턱없이 낮다는 반응이 나온다. 국내 농가의 한우 사육 마릿수가 증가하는 이유로 한우 가격의 상승도 있지만 '농촌에서 돈 되는 것은 한우밖에 없다'는 인식도 작용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상주·문경 일대 한우 농가들은 "겉보기에 한우를 사육하면 수입이 클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강조한다. 올해 사료값이 큰 폭으로 두 번이나 올랐고 연말에 또 오른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사료값이 고공행진을 예고하고 있다. 분뇨 처리시설 강화와 축사 적법화 조치 등 정부의 규제도 심해져 이와 관련된 시설 투자비도 만만치 않다. 출처: 매일신문 |
|||
목록 |
다음게시물 | [한국경제] 金겹살·金한우…식탁 덮친 물류대란 |
---|---|
이전게시물 | [농축유통신문] 보상금은 줄고 과태료는 늘어…농가 책임 늘어난 가전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