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 사육마릿수 감축, 온실가스 저감 해결책 아냐 |
|||
---|---|---|---|
작성일2021-08-25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농수축산신문 송형근 기자] 온실가스 저감과 관련해 축산부문에서 가축 사육마릿수를 감축하는 것은 저감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가축 사육마릿수 감축이 실제로 현실화될 경우 온실가스 저감 효과 보다는 국내 사육기반을 완전히 붕괴시키는 악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에서 가축 사육마릿수 감축과 관련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하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가축 사육마릿수를 줄여 축산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자는 주장은 지난달 6일 개최된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제9차 축산소분과 회의에서 경종농가, 환경·소비자 관련 시민단체에서 참여한 위원들로부터 나왔다. 이들은 가축 사육마릿수를 약 20% 가량 줄이면 축산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동시에 악취와 지역에서 발생하는 민원도 줄어들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에 대해 이기홍 대한한돈협회 부회장은 “국내 농업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내 전체 배출량의 2.9%이고 축산부문은 약 1.29%에 불과하다”며 “축산부문에서도 가축분뇨 처리시 기존 퇴·액비화 방식보다는 바이오가스나 고체연료화 등 신재생에너지 자원화시설을 확대하고 있고 냄새 저감을 위해 시설 투자도 늘리고 있는데 마치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국내 전체 배출량 중 가장 많은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절대로 옳지 않다”고 밝혔다. 윤영만 한경대 교수는 “가축 상시 사육마릿수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은 국내 축산업 사육기반을 무너트려 결국 농업생산액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과 다를 것이 없다”며 “환경·소비자 관련 시민단체에서도 축산업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축산업계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노력하는 가축분뇨 신재생에너지화 시설 확대 설치, 환경부담 저감 사료 개발, 저탄소 사양기술 확립 등 정부 정책에 발맞춰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농수축산신문 |
|||
목록 |
다음게시물 | [농민신문] 축산물 출하정보<소>(8월16일~8월20일) 추석 물량 증가…값 소폭 하락 |
---|---|
이전게시물 | [농민신문] 한우산업 발전 위한 법 제정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