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농업전망 중 축산부분(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작성일2012-02-08
작성자관리자
|
|||
100 |
|||
2012oy26_농업전망_축산분야.pdf |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12 농업전망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첨부파일 중 한육우 부분을 참고하면 된다. □ 한육우 ◦ 도축 마리수가 크게(전년 대비 17%) 증가하여 2011년 한육우 사육 마리수는 2010년(292만 마리)보다 1% 증가한 295만 마리에 그쳤다. 정액판매량이 감소 하고 송아지 가격 약세로 농가의 번식의향이 위축되어 2012년 한육우 사육 마리수는 2011년보다 2% 감소한 289만 마리로 전망된다. ◦ 정부가 추진하는 암소 감축 10만 마리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2013년까지 20만 마리 감축) 2012년 사육 마리수는 2011년보다 6% 감소한 279만 마리로 전망된다. ◦ 도축 마리수 증가로 2012년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2011년보다 18% 증가한 25만 5천 톤으로 전망된다. 한우고기 공급량 증가로 한우 도매가격은 2011년(12,782원) 보다 6% 하락한 12,069원으로 전망된다. 암소 감축물량이 시장에 추가적으로 공급될 경우 2012년 한우 도매가격 하락 폭은 확대될 수 있다. □ 쇠고기 수급 전망 ◦ 도축 마리수 증가로 2012년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2011년보다 18.1% 증가한 25만 5천 톤으로 전망된다. 2013년은 26만 8천 톤, 2017년에는 25만 3천 톤, 2022년에는 24만 9천 톤으로 전망된다(기본안). ◦ 한·미 FTA 등으로 쇠고기 수입량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12년 1인당 쇠고기 소비량은 11.1kg으로 예상되며, 2013년에는 11.6kg, 2017년 12.1kg, 2022년 12.7kg으로 전망된다(기본안). ◦ 암소 감축에 따른 추가적인 도축 마리수 증가를 적용한 시나리오Ⅰ의 경우 2012년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2011년보다 23.4% 증가한 26만 7천 톤으로 전망 된다. 2013년은 27만 6천 톤, 2017년에는 24만 7천 톤, 2022년에는 24만 9천 톤 으로 전망된다. ◦ 시나리오Ⅱ의 경우 2012년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2011년보다 28.7% 증가한 27만 9천 톤으로 전망된다. 2013년은 28만 5천 톤, 2017년에는 23만 9천 톤, 2022년 에는 24만 9천 톤으로 전망된다. ![]() |
|||
목록 |
다음게시물 | 제3차 선거관리위원회 회의 결과 보고 |
---|---|
이전게시물 | 「한우암소감축장려금지원사업」세부 시행지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