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초안을 보니… |
|||
---|---|---|---|
작성일2021-08-12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정부가 탄소중립을 목표로 가축 사육두수를 제한해 진짜 축산물 생산을 줄이고, 육류 대체식품을 육성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대체가공식품 이용 식생활 개선”…저감방안 제시 농식품부도 발맞춰 배양육 기술 지원 시사 ‘공분’ 업계 “탄소 주범 몰이…가축사육 하지말라는 것” 문제가 된 것은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가 지난 5일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해당 시나리오에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3개 시나리오 초안이 공개됐다. 전환부문, 수송부문, 산업부문, 건물부문, 농축수산부문, 폐기물 부문으로 나눠 사회 부문별 미래상을 그렸다.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8천260만톤~1억5천309만톤, 상쇄량 8천260만톤~1억2천850만톤으로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2천540만톤으로 감축한다는 것이 큰 골자다. 탄소중립위원회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국제기후 위기 대응에 적극 동참해야한다”며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늦어질 경우 국가 경쟁력 하락이 불가피한 만큼 획기적인 감축을 위해 사회 전반적인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탄소중립위원회가 제시한 탄소중립 실현 시나리오 초안 중 농축수산부문을 살펴보면 2050년 에너지 소비량은 2018년 2천700만 TOE(석유환산톤) 대비 19% 감소한 2천200만 TOE로 전망됐다. 화석연료(석탄, 석유, 도시가스) 사용량이 2018년 45.1%에서 2050년 2.4%로 줄어드는 대신 전력이 97%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온실가스 배출 역시 2018년 2천470만톤 대비 31.2~37.7% 감축된 1천540만~1천710만톤으로 분석됐다. 축산분야와 관련해서는 메탄가스 발생 및 분뇨 내 질소를 줄이기 위해 저메탄·저단백질 사료 보급을 확대하고 스마트축사 보급을 중심으로 디지털 축산 경영을 통한 가축 정밀 사양, 폐사율 감소 등으로 생산성을 높여 축산업의 지속가능성 향상,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 처리율 35% 이상으로 확대 등을 꼽았다. 여기까지는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해왔던 잘 알려진 사업들로 농가들의 공감대를 얻기에 큰 무리가 없어보였다. 그러나 탄소중립위원회는 온실가스 주요 감축 수단 중 하나로 식단의 변화, 대체가공식품 이용 확대를 명시했다. 배양육, 식물성분 고기, 곤충원료 등 대체가공식품 기술을 개발하고 이용을 확대함과 동시에 대체가공식품 이용 확대를 위한 식단 변화 등 전 국민의 식생활 개선에 나선다는 내용을 제시했다. 가축분뇨를 통해 온실가스·탄소가 배출되자 축산물 대신 대체가공식품의 이용 확대를 꾀해 가축사육을 줄여나가겠다는 의지를 간접적으로 피력한 셈이다. 전 국민의 식생활 개선 부분은 소비자들에게 가축사육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더욱 강하게 심어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축산업의 규모 축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최근 분석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축산 분야는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를 근거로 타 산업과 달리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난 것으로 전망한 것이 탄소중립위원회의 시나리오에 포함되게 된 근거로 풀이된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여기에 발맞춰 대체육·배양육 연구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6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주최한 배양육 관련 토론회에서 농식품부 측은 “세계 육류 대체식품 시장이 2023년까지 연평균 6.2%의 성장이 전망되는 만큼 미래 수요에 대응한 원천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상용화를 촉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최근 농식품부는 농식품 분야 우수 벤처·창업 기업을 발굴하고 홍보하기 위한 ‘A-벤처스’ 업체에 국내산 버섯을 기반으로 한 식물성 닭고기 대체육을 개발해 판매하는 업체를 선정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축산업계의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축산업계는 “정부가 고기를 덜 먹게 하는 식생활 개선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은 가축 사육을 사실상 금지시키겠다는 것 아니겠냐”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또한 대체육·배양육이 민간이 아닌 정부차원에서의 개발과 지원이 이뤄지는 것에 대해서도 향후 축산업계의 대응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
목록 |
다음게시물 | [교차로저널] <칼럼> 농수축산물과 선물 경제학 |
---|---|
이전게시물 | [축산신문] 한우협, “청탁금지법 적용 민간까지 확대…소비 찬물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