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인사이트] 한우산업 전후방 산업 규모 13조 1465억 원 추산 |
|||
---|---|---|---|
작성일2021-07-20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취업자수 35만명 관련인구 88만명 한우협회 한우정책연구소 집계 발표 [팜인사이트= 옥미영 기자] 2021년도 기준 한우산업 전·후방 전체 산업 규모는 13조 1,465억 원으로 추산되며, 전방산업 6조 3,366억 원(48.2%), 후방산업 6조 8,099억 원(51.8%)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한우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취업자 수는 35만 7,370명, 관련 인구는 88만 6,278명으로 추산됐다. 전국한우협회 한우정책연구소는 7월 둘째주 주간 한우정보를 통해 한우 전후방 산업 규모 및 취업자 수를 추산했다. 한우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도축 이후 도매 및 소매단계에 이르기까지 유통 관련 산업이 중심을 이룬 한우전방산업에서 도매 마진은 1조 4,329억 원, 소매 마진은 4조 9,037억 원이며, 전체 한우관련 산업 생산액(13조 1,465억 원) 대비 점유비는 도매 10.9%, 소매 37.3% 수준이다. 후방산업 규모는 한우생산액과 동일하며, 이 중에서 한우농가 소득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생산비를 구성하는 사료, 영농자재 등 재화와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의 몫으로 구분했다. 한우생산액 6조 8,099억 원 가운데 한우농가 소득은 2조 2,955억 원(33.7%), 생산재 후방산업 생산액은 4조 5,144억 원(66.3%)으로 추산됐다. 한우농가 소득 2조 2,955억 원은 전체 한우관련 산업 생산액의 17.5% 수준으로 비육 및 번식부문의 합계로 계산했다. 이 중 비육부문은 8,648억원, 번식부문은 1조 4,307억 원으로 추산됐으며, 농가당 소득은 2563만원 수준이었다. 한우농가 소득 2조 2,955억 원을 농가호수 8만 9,576호(2021년6월)로 나누어 농가 당으로 환산한 것으로 이는 21년최저임금(시급 8,720원) 기준 연봉 2,187만 원 대비 117% 수준이다. 2021년 한우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총 취업자 수는 35만 7,370명, 관련 인구는 88만6,278명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자 수 추산은 한우 관련 전후방 산업 업체를 중소기업으로 간주하고 한우농가 소득을 제외한 전·후방산업 생산액을 500인 미만 중소기업 평균 연봉 4,052만원(19년 기준)으로 나누어 계산했다. 취업자 수를 추산한 결과 전방산업은 15만 6,383명(도매업 3만5,365명, 소매업 12만 1,018명), 후방산업은 20만 987명(한우농가 이외 11만 1,411명)으로 추정했다. 한우산업 관련 인구는 취업자 1세대당 평균 세대원 수 2.48명(19년 기준)을 가정할 경우 전방산업 38만 7,830명, 후방산업 49만8,448(한우농가 이외 27만 6,300) 명으로 추정됐다. 출처 : 팜인사이트(http://www.farminsight.net) |
|||
목록 |
다음게시물 | [머니투데이] KLPGA 박현경 프로, 한우 명예홍보대사 |
---|---|
이전게시물 | [축산경제신문]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 “한우의 날, 전국 축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