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알림·소식

한우뉴스

[축산신문] <포커스>내년도 축산 정책 방향은

작성일2021-07-12
작성자전국한우협회

100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식품부는 축산분야의 내년도 예산 중점편성 방향을 ▲체계적인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 ▲온라인 축산물 유통거래 활성화 등 미래 대응 축산업 기반 강화 ▲데이터·AI 활용 축산물 수급관리체계 고도화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대비한 조사료 국내 공급 안정화 추진 등에 맞췄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오는 2025년까지 공동자원화·에너지화 시설 22개소를 설치하고 깨끗한 축산농장 1만개소를 지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가축분뇨 적정 처리를 통한 수질·토양 등 환경오염 방지 및 냄새 저감, 저탄소 녹색성장 및 기후 온난화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농식품부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최적의 소 사육방식 도출을 위해 시범사업을 실시, 단기 출하우의 시장성 조사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 축산 시범단지 확대 조성 및 축산분야 현안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축산현안대응 산업화 기술개발’ 연구사업도 추진한다. 스마트 축산 시범단지는 2025년까지 8개소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스마트축
사의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제공과 활용 강화, 질병·냄새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온라인 원격 경매가 가능한 축산물 온라인 경매 시스템도 보급할 예정이다.
축산현안 대응 산업화 기술개발 연구 예산은 2026년까지 421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축산물 수급관리체계도 고도화 된다. 축산물 이력제의 정확도를 높이고 유통·소비 정보 구축 등을 통한 축산물 수급관리 정책의 지원을 강화한다. 이어 전체 모돈(후보돈 포함)에 대한 개체별 이력제 실시 및 체계화된
축산물 소비실태 조사 등을 추진한다.
또한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수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조사료 국내 공급의 안정화를 추진한다. 우리나라는 사료 원료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만큼 국내산 조사료의 품질 및 자급률 향상을 추진하며, 사료 가
격 연중 표준편차 5.0이내 유지와 조사료 자급률 82.5% 달성을 목표로 잡았다.
특히 사료업체의 원료구매자금 지원 확대 및 농가사료구매 자금을 증액하는 한편 조사료 시장개방에 대응해 양질의 국내산 조사료 연중 공급을 통한 자급률 제고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기획재정부에 제출된 2022년 정부예산 중 농림·수산·식품 분야 예산은 22조9천억원으로 올해 예산 대비 0.9% 증액된 수준이다. 예산안을 9월 국회로 넘기기 앞서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있다.
축산업계는 개방화 및 식량위기 시대에 국내산 축산물의 안정적 공급과 축산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더욱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증액을 요구하고 있다.

출처: 축산신문
목록
다음게시물 [축산경제신문] 전국한우조합장협의회 “한우의 날, 전국 축제로”
이전게시물 [팜인사이트] 식량가격 지수 소폭 하락...세계곡물 재고량 증가 전망도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