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 폭우에 한우도 떼죽음…“재난지역 지정해달라” |
||||
---|---|---|---|---|
작성일2020-08-11
작성자전국한우협회
|
||||
100 |
||||
![]() ▲ 9일 오전 물이 빠져나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서시천변 제방 비탈면에 줄에 묶인 채 한우가 쓰러져 있다.
상대적으로 저지대인 데다 3일 내내 폭우가 내리고 섬진강 둑마저 무너져내렸던 곳이다. 공식 집계와 달리 실제로는 이 일대 전체 한우 1000여마리 가운데 500마리 이상이 폐사 또는 유실됐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실제 이날 복구작업이 본격화한 현지에서는 축사뿐만 아니라 하천가, 들판, 길거리 등에서 소들이 무더기로 죽은 채 나뒹구는 안타까운 모습들이 목격됐다. 축산농가들과 전문가들은 일시에 물이 들이친 데다 주변이 온통 물바다가 돼 대피할 곳이 없었던 게 원인이 주장했다. 이 일대에는 지난 6∼8일에 550㎜가 넘는 기록적 폭우가 쏟아졌다. 8일에는 섬진댐이 긴급 방류를 시작하며 마을들이 물에 잠기기 시작한 가운데 갑자기 섬진강 둑마저 무너져 축사를 집어삼켰다. 송동면에서 소 120마리를 키우다 이번에 80여마리를 잃었다는 최모(62) 씨는 “둑이 터지면서 갑자기 물에 무섭게 차올라 트럭도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소들이 죽어가는 처참한 모습을 보면서도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강병무 남원축산업협동조합장은 “키가 작은 송아지는 거의 죽었다고 봐야 한다. 헤엄을 잘 치는 어미 소들도 물살이 거센 데다 그 일대가 모두 몰에 잠겨 피할 데를 찾을 수가 없으니 힘이 빠져 죽거나 물에 쓸려나갈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강 조합장은 “소는 수영을 잘하는 대표적 동물 가운데 하나”라며 “실제 이번 폭우에 쓸려나간 남원의 소들이 몇십㎞ 떨어진 섬진강 하류의 곡성과 구례에서도 살아서 발견될 정도”라고 덧붙였다. 축산농가가 다행히 보험에 가입했다면 피해액의 80% 가량을 보상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농가들은 최소 50% 가량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소가 이런 피해를 본 것은 도내에서 거의 사례가 없다”며 “축산농가에 대한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전주 서울신문 임송학 기자 |
||||
목록 |
다음게시물 | 양정마을 마리당 800만원 한우 1100마리 폐사..보상 겨우 100만원 |
---|---|
이전게시물 | 도태시기 지난 ‘한우 암소’ 추석 대목 쏟아져나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