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알림·소식

한우뉴스

"한우 고급육 출현율 늘면서 경락가격도 상승세"

작성일2020-02-06
작성자전국한우협회

100

associate_pic

최근 1+등급 이상 고급 한우의 출현율이 높아지면서 도매시장에서의 경락가격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축산물 이력 정보를 활용해 최근 5년간 설 명절 한우 출하

동향과 경락 가격 등을 분석한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올해 설 명절 직전 1개월(2019년 12월24일~2020년 1월23일) 한우 도축 물량은 10만1000두로,

최근 5년 평균과 같았다. 설 성수기 출하 물량은 2016년 10만7000두에서 2017년 10만2000두,
2018년 10만1000두, 2019년 9만6000두에서 올해 4년 만에 늘었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은 5.2%다.
거세한우가 5만3000두에서 5만6000두로 늘었고, 암소도 4만2000두에서 4만4000두로 증가했다.

이정용 축평원 이력관리처장은 "올해의 경우 설 명절이 비교적 빨랐기 때문에 명절 수요와 연말 수요가

겹치면서 도축 마릿수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설 성수기 도매시장에서 전체 한우의 평균 경락가격은 ㎏당 1만9292원으로, 1년 전(1만7661원/㎏)보다

1631원/㎏(9.1%) 올랐다. 거세한우와 암소가 각각 2만359원/㎏, 1만7522원/㎏으로, 최
근 5년 평균(1만8446원/㎏, 암소 1만6436원/㎏)보다 높았다. 이 처장은 이에 대해 "1+ 등급 이상
고급육의 출현율이 높아지면서 경락가격도 올라간 것으로 분석한다"고 했다. 
associate_pic

최근 5년간 설 성수기에 1+등급 이상 암소의 등급 출현율은 2016년 20.3%에서 2020년 29.0%로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1등급 이하의 출현율은 79.6%에서 70.9%로 하락했다. 거세한우 역시 1+등급 이상의
출현율이 2016년 56.1%에서 2020년 62.5%까지 솟았다. 그러나 평균 도축월령에선 차이가 나타났다.
암소의 경우 1+등급 이하에서만 증가했지만, 거세한우는 모든 등급에서 감소세가 뚜렷했다.

장승진 축평원장은 "한우 농가의 가축 개량과 사양 관리 노력 등으로 1+등급 이상 쇠고기의 출현율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사육 월령이 단축됐다"며 "향후 한우의 사육 마릿수 증가 등이 예상되고 있어 사육
농가의 선제적 계획 출하와 비용 절감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뉴시스 장서우 기자

 
목록
다음게시물 "횡성한우, 지역 증명표장 등록 안된다"
이전게시물 [콕콕 장바구니] 국산 축산물 섭취로 바이러스 ‘철통방어’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