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성명서 |
|||||||||
---|---|---|---|---|---|---|---|---|---|
발표일    
작성자관리자
|
|||||||||
100 |
|||||||||
죽어봐야 저승 맛을 아나! 갈아보자, 무능정부! - “11․3 축산농가 생존권 포기! 가축반납 투쟁!”은 시작에 불과 - 축산 농민지도자들이 목숨을 건 단식투쟁을 벌인지 7일째. 전국 축산농민들의 생존권을 요구하는 절규는 공허한 메아리로 돌아올 뿐이다. 이 나라에서 소, 돼지, 닭, 오리, 사슴, 벌 키우는 게 죄인가! 먼저 이 정부, 위정자들에게 묻고 싶다. 우리는 농장을 떠나, 여의도 아스팔트를 택했다. “대문 밖이 저승이라고 했다”. 어차피 FTA로 죽는 날을 기다릴 바에는 우리 국민, 후계 축산농민들을 위해서라도 마지막 생존권 투쟁을 해 보겠다는 각오에서이다. 우리 축산업을 지키기 위한 마지막 선택이다. 우리는 정부에 마지막 기회를 줬다. 지난 26일(월) 우리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부, 농림축산식품부에 축산업 회생을 위한 9대 요구사항을 전달하였고, 최종시한을 30일(목)까지로 못 박았다. 또한 청와대, 국회에 FTA 축산업 회생대책 마련을 위한 ‘여․야․정 협의체’ 구성을 촉구하였다. 이유는 단 하나다. 무능하고 의지가 없는 관계부처에 더 이상 축산업 대책을 맡길 수 없다는 것이었다. 우리의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랐다. 현장 축산농민들의 자괴감과 울분은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경지이다. 우리는 “11․3 축산농가 생존권 포기! 가축반납 투쟁!”을 결의하였다. 이는 1단계에 불과할 것이며, 이후 제2, 제3의 대대적인 반납투쟁을 예고한다. 11월 3일이 축산농민 봉기의 기념일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면, 이 나라 정부, 국회는 우리에게 답을 해야 할 것이다. 이제 이틀만의 시간밖에 남지 않았다. 굶주린 농민들의 외침이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인지 목격하게 될 것이다. 2014년 10월 29일 FTA국회비준 반대 비상대책위원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한국오리협회장) 이창호 전국한우협회장 이강우 한국낙농육우협회장 손정렬 대한한돈협회장 이병규 대한양계협회장 오세을 한국양봉협회장 조균환 한국사슴협회장 정유환 한국육계협회장 정병학 한국토종닭협회장 김연수 |
|||||||||
목록 |
다음게시물 | 1030 투쟁일보 |
---|---|
이전게시물 | 1029 투쟁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