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알림·소식

공지사항

2025년 상반기 구제역백신 일제접종 계획 알림

작성일2025-03-10
작성자전국한우협회

100

2025년 상반기 구제역백신 일제접종 결과 서식.xlsx 2025년 상반기 소·염소 구제역백신 일제접종 계획(송부용).hwpx


1. 접종 대상
전국의 소·염소 102천 농가, 4,335천 마리
() 87천 농가, 3,801천 마리 / (염소) 14천 농가, 534천 마리
* 미니피그·산양·면양 등 기타 우제류 대상 구제역 예방약 지급 및 접종 확인
접종 유예 대상
예방접종 후 4주가 지나지 않은 가축
임신말기(7개월~분만일)로 농가에서 일제접종 유예를 신청한 소

2. 접종 방법
(접종 기간) 2025. 4. 1. ~ 4. 14.(2주간)
* , 수의사가 접종 지원하는 농장은 4주간(4.1~4.30) 접종 실시
(접종 백신)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2가 상시 백신(O+A)
 
수입사(제조사) 백신주(O+A)
고려비엔피, 코미팜, 대성미생물
(영국 베링거인겔하임)
O Manisa, O 3039, A22 IRAQ
FVC
(아르헨티나 바고)
O Campos, A24 Cruzeiro, A2001 Argentina
동방
(러시아 아리아)
O Primorsky14, A Zabaikalsky/2013
(접종 방법) 소규모 농가*수의사와 포획 전문인력 등을 통해 접종과 포획(염소만 해당)을 지원하며 전업규모 농가는 자가접종 실시
* 50마리, 염소 300마리 미만 사육 농가
밀집단지 등 방역 취약지역은 수의사를 활용하여 접종 지원 가능
전업규모 농가는 자가접종을 원칙으로 하되 고령 등의 이유로 자가접종이 어려운 경우 접종반(수의사 포함)을 통해 접종 지원 가능

3. 백신 지원 및 방역 관리
(백신 비용) 가축백신지원(구제역 예방약 등 지원)사업비
(백신 공급) 상시 백신접종과 동일한 방법·조건으로 공급
(소규모) ·군별로 일괄 구입하여 농가에 공급(보조 100%)
* 염소는 사육 규모에 관계없이 시·군별로 일괄 구입하여 공급
(전업규모) 농가가 직접 축협동물병원에서 구매(보조 50%, 자부담 50%)
(방역관리) 구제역 예방접종 전··후 방역관리 철저
(접종 전) 백신 접종반은 농장 출입 시 방역복, 마스크, 방역덧신 및 장갑 등을 착용하고 1농장/1회 사용 원칙 준수 철저
(접종 중) 접종요령을 준수하고 접종 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 구제역 의심축 발견 시 접종 중단하고 가축방역기관에 신고(이동제한 실시)
(접종 후) 접종 인력·차량 및 접종에 사용한 물품 세척·소독 철저
- 접종반은 거점소독시설에서 차량·사람 소독 실시 후 다음 농장 출입

4. 사후관리
(모니터링) 예방접종 이행 여부 확인을 위해서 일제접종 4주 후 백신 항체(SP 항체) 양성률 모니터링 검사 실시
(검역본부) 모니터링 검사 계획을 수립하여 지자체·관계기관(단체) 통보하고 지자체 검사 결과를 취합·분석하여 우리 부에 제출
- 수의사가 접종 지원하지 않거나 항체양성률이 저조한 농가, ’24년 항체 검사 실적이 없는 전업농 등 취약 농가를 우선 검사토록 계획 수립
- 또한, 염소 농가의 구제역 백신접종 관리 강화를 위해 도축장에 출하하는 염소 대상 항체 검사 계획 수립
() 검역본부 모니터링 검사 계획에 따라 관할 농장에 대해 혈청 예찰(항체검사)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검역본부에 송부
- 검사 결과 항체양성률이 기준 미만인 농가는 과태료 부과 재접종 4주 이내 항체양성률 개선 여부 확인을 위한 항체 검사 실시
(접종 관리) 축산물 이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일제접종 시 접종 누락 되었거나 유예된 개체를 확인하여 추가 접종 등 지속 관리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물 이력관리시스템을 통해 일제접종 기간 동안 접종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개체·농가 정보를 지자체에 제공
(지자체) 접종 누락 개체 및 유예 개체에 대한 후속 관리 실시
- (누락 개체) 이력관리시스템을 통해 일제접종 기간 접종 정보가 없는 개체가 확인되는 경우 즉시 누락 사유 확인 및 추가 접종 실시
* 누락 개체 : 이력관리시스템 내 최근접종일자가 일제접종 기간이 아닌 개체
- (유예 개체) 임신말기 등 사유로 접종 유예된 개체는 사유 해소 신속히 접종토록 하고 다음 일제접종 기간에 접종될 수 있도록 관리
* 임신진료 또는 새로 태어난 가축 등 일제접종 기간이 아닌 시기에 접종한 가축의 일제접종 유도 프로그램 예시 참조(붙임 3)
목록
다음게시물 2025년도 한우자조금 사업계획 농식품부 승인 공시
이전게시물 협회전용사료 '대한한우' 2025년 3월 가격표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