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정보·자료

한우자료실

[KISTEP브리프] '배양육의 미래' 연구 보고서

작성일2023-12-26
작성자전국한우협회

100

[KISTEP+브리프]+배양육의+미래.pdf
(2023.12.21)

결론 및 향후 과제

단백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배양육을  포함한  대체육  산업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식량안보  및  식량주권에  중요

○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축산업이 생산할 수 있는 단백질의 총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


배양육은 기술개발이 현재 진행중이며 시장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른  대체육보다  불확실성이  큼

○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일반육 대비 경제성을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태


이러한 불확실성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이 있을법한 다수의  미래상을  구체적으로  그려보는  것이  필요

○ 배양육 판매를 허가한 나라가 아직 2개국(싱가포르, 미국)밖에 없으며, 이탈리아와 같이 배양육에 비호의적인 국가도 존재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대응전략을 모색해야 함




배양육의 미래

축산업계와의  갈등을  해소하고  공존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

○ 기존산업과 신산업의 이해관계가 충돌하여 발생한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신산업의 발전이 저해될 수 있음

※  예:  택시업계(기존산업)과  승차공유  플랫폼(신산업)과의  갈등

○ 따라서 축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적절한 보상체계를 마련하여 상생방안을 모색해야 함
 
목록
다음게시물 [카드뉴스] 2024년 달라지는 주요 축산제도
이전게시물 2023년 11월호 한우마당 등재용 '한우동향분석'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