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미래전략연구소] 2023년 1분기 축산업 분기 동향 리포트 공유(최근 3개년 축산 지표 변화 추적) |
|||
---|---|---|---|
작성일2023-02-02
작성자김민영
|
|||
100 |
|||
안녕하세요 한국축산데이터 축산미래전략연구소입니다. 2023년-1분기 축산업 분기 동향 리포트 공유 드립니다. - 최근 3개년 축산 지표 변화 추적 한국축산데이터 축산미래전략연구소에서는 지속적으로 축산업, 축산물 관련 지표를 시각화하여 제공 드릴 예정으로 축산업 종사자 여러분들의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국내 사육 및 번식 두수 현황, 도축 실적, 배합사료 생산 실적, 세계 곡물 가격 동향 등 2023년 1분기 내용 정리 1. 양돈 사육두수 현황 - 돼지 2개월 미만 사육 두수 : 봄~여름철 상승, 가을~겨울철 하락하는 패턴 지속되며 23년 3월까지 감소 예정 - 돼지 2~4개월 사육 두수 동향 : 봄~여름철 상승, 가을~겨울철 하락하는 패턴 지속되며 23년 3월까지 감소 예정 - 돼지 4~6개월 사육 두수 동향 : 21년까지 감소 후 하락 수준 유지, 23년 상반기까지 하락 예상 번식 두수 현황 - 돼지 6~8개월 암컷 사육 두수 현황 : 21년 하반기 이후 감소 추세에 있으나 상반기 상승 패턴의 영향으로 3월까지 횡보 후 증가 예상 - 돼지 8개월 이상 암컷 사육 두수 동향 : 22년 12월 하반기 하락 패턴 일단락 후 23년 상반기까지 소폭 상승 예상 도축실적 - 돼지 도축 두수 : 지난 4년간 꾸준히 증가해왔으나 22년 들어 둔화 추세 - 23년 3월까지 위아래 등락 후 상반기 하락 예상 2. 축우 사육 두수 현황 - 육우 사육 두수 동향 : 20,21년은 등락을 동반한 상승세, 22년여름까지 사육두수 하락 후, 하락 수준 유지, 2022년부터 상승세 꺾인 이후 두 수 하락 횡보 유지 예상, 기저효과로 최근 12월 하락폭 커보이나 매년 말 감소하는 일반적 패턴 수준 - 젖소 사육 두수 동향 : 최근 3개년간 꾸준한 감소 추세, 20Q2발 하락세 지속되며, 연말 감소하는 추세에 따라 낙폭은 커질 것 예상 - 한우 사육 두수 동향 : 최근 3개월 주기성을 갖는 상승세 이어짐, 봄~여름철 사육두수 상승, 가을~겨울철 사육두수 하락 특성 반복, 그에 따라 23년 3월까지 상승세 예상 번식 두수 동향 - 가임암소 두수 현황 : 한우 사육두수 트렌드에서 3개월 정도의 시차를 둔 트렌드, 20, 21년은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22년 상승세 둔화 추세, 최근 3개년 겨울~봄철 두수 변동 폭 없고, 이에 따라 23년 봄까지 소폭 하락 유지 전망 - 송아지 출생 두수 현황 : 최근 3개년 연평균 출생두수는 큰 변화 없으며, 계절성 뚜렷한 특징 반복, 매년 초봄에 연 최고점, 겨울에 연 최저점 기록, 최고점은 최저점의 1.8배 수준, 꾸준한 우상향 추세 가운데 강한 계절성의 영향으로 내년 3월까지 크게 반등 예정 도축 실적 - 육우 도축 두수 동향 : 최근 3개년간 3개월 단위의 등락 주기 지속되나 평균 도축 두수 변동은 크지 않음, 등락주기는 8-9월과 12-1월에 피크 기록, 하락 형태 반복, 명절(계절성 요인) 작용 예상, 최종 기록월(22년10월) 기준, 23년 3월까지 예측치 역시 3개월 단위의 등락주기 예상 - 젖소 도축 두수 동향 : 최근 3개년간 3-4월 도축 두수 급감, 5-6월 유지, 7월부터 반등하는 사이클 반복, 최종 기록월(22년 10월) 기준, 22년 3월까지의 예측치는 3개월의 주기성으로 하락 예상, 낙폭은 예측치보다는 완화된 수준으로 나타나고, 3-4월에 크게 사육 감소 있을 것으로 예상 - 한우 도축 두수 동향 : 최근 3개년간 8-9월과 12-1월에 피크 기록하고 하락하는 형태 반복, 명절(계절성 요인) 작용 예상, 최종 기록월(22년 10월) 기준, 22년 12월에 급증했다가 다시 급감하는 형태 반복 예상 ![]() ![]() ![]() ![]() * 양돈 리포트 고화질 링크 ↗ * 축우 리포트 고화질 링크 ↗ * 관련기사 링크 ↗ |
|||
목록 |
다음게시물 | 독감 조심하세요~ |
---|---|
이전게시물 | 과일사료 |